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책 내용 미리보기
청소년 인성교육
저자 하혜숙, 황매향, 여태철, 강지현
출판사 KNOU 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출판일 20180125
가격 ₩ 16,400
ISBN 9788920028212
페이지 viii, 394 p.
판형 176 X 248 mm
커버 Book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책 소개
최근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쏟아지고 있다. 다만, 인성교육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마다 학자마다 다양한 접근 방식을제시하고 있다. 지금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제시되는 여러 가지 분류체계와 개념들을 어떻게 정돈하고 적용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저자들은 인성교육에 대해 통합적·긍정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성격 강점을 바탕으로 개인발달, 대인관계 발달, 학업발달, 진로발달과 함께 인성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성격 강점을 다룬 각 장마다 해당 강점을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장은 먼저 해당 인성덕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개념 정의와 해당 덕목의 발달과 관련된 이론 정리 뒤에 활동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목차
제1부 인성교육에 대한 이해

제1장 인성교육의 개념
제2장 인성교육과 통합적 발달

제2부 개인발달

제3장 자아존중감
제4장 정서조절
제5장 적응유연성
제6장 자기초월

제3부 대인관계 발달

제7장 겸손과 용감성
제8장 이타성과 공감
제9장 사랑과 용서
제10장 리더십과 공정성

제4부 학업발달

제11장 자기효능감
제12장 자기통제
제13장 창의성

제5부 진로발달

제14장 정체감
제15장 합리적 의사결정능력
제16장 희망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저자소개
하혜숙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교육상담 전공), 서울대학교 성희롱성폭력상담소 전문위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과 교수다.

황매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와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같은 대학에서 교육상담 전공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종근당 중앙연구소와 명문제약 마케팅부에서 약사로,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에서 상담연구원으로 일했으며 한국기술대학교 테크노인력전문대학원 대우교수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미국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에서 3회에 걸쳐 초빙연구원으로 연구했다. 한국상담학회와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자격증과 청소년상담사 1급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고, 학업상담과 진로상담을 전문 영역으로 상담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학업실패 트라우마 상담』(2021), 『진로탐색과 생애설계』(공저, 2020),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행동수정 길잡이』(2016), 『사례에서 배우는 학업상담의 실제』(2016) 등이 있고 학업상담, 진로상담, 저소득층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여태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교육심리)로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연구원,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서평
최근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쏟아지고 있다. 다만, 인성교육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마다 학자마다 다양한 접근 방식을제시하고 있다. 지금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제시되는 여러 가지 분류체계와 개념들을 어떻게 정돈하고 적용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저자들은 인성교육에 대해 통합적·긍정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성격 강점을 바탕으로 개인발달, 대인관계 발달, 학업발달, 진로발달과 함께 인성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성격 강점을 다룬 각 장마다 해당 강점을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장은 먼저 해당 인성덕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개념 정의와 해당 덕목의 발달과 관련된 이론 정리 뒤에 활동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Copyright ⓒ E-CIP Content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