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예비회담 ~ 5차회담
총서명
동북아역사 자료총서 08/한일회담 외교문서 해제집 1
저자
출판사
출판일
20080513
가격
₩ 50,000
ISBN
9788961870481
페이지
867 p.
판형
188 X 257 mm
커버
Book
책 소개
2005년 8월 전면 공개된 한일국교정상화 교섭(한일회담)에 관련된 외교문서의 해제집. 그간 비밀로 취급되던 정부의 외교문서는 누구라도 열람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그간 수많은 억측과 의혹의 대상이 되어왔던 한일회담에 대해 상당 부분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분석 및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게 되었다. 이로써 한일회담은 정치적인 주장이나 편견, 선입관을 넘어서 학술적인 차원에서 본격적인 분석검토의 대상이 될 수 있게 되었다.
이 해제집의 간행 역시 한일협정의 성과와 한계 등에 대한 연구와 활용을 본격화 하기 위한 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것이다. 특히 근현대 한일관계사 분야의 연구를 촉진하고 현재 한·일 간에 놓여있는 여러 가지 현안문제의 해결 및 합리적인 대일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해제집의 간행 역시 한일협정의 성과와 한계 등에 대한 연구와 활용을 본격화 하기 위한 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것이다. 특히 근현대 한일관계사 분야의 연구를 촉진하고 현재 한·일 간에 놓여있는 여러 가지 현안문제의 해결 및 합리적인 대일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제1부 예비회담(1951.10.20.~12.4.)
1.대일강화조약에 관한 기본태도와 그 법적 근거
2.본회의 회의록
3.재일한인의 법적지위문제 사전 교섭
4.청구권관계자료집:일본에 있는 구왕실재산목록(1951)
제2부 제1차 한일회담 (1952.2.22.~4.2.)
5.기본관계위원회 회의록
6.재일한인의 법적지위위원회 회의록
7.본회의 회의록
8.선박위원회 회의록
9.어업위원회 회의록
10.한국선박 반환관계(1948~1952)
11.청구권분과위원회 회의록
12.청구권관계자료(1950~1952)
제3부 제2차 한일회담 (1953.4.15.~7.23.)
13.국적 및 처우분과위원회 회의록
14.본회의 회의록
15.선박위원회 회의록
16.어업위원회 회의록
17.청구권위원회 회의록
18.어업관계자료
제4부 제3차 한일회담 (1953.10.6.~10.21.)
19. 국적 및 처우분과위원회 회의록
20.본회의 회의록 및 1~3차 한일회담 결렬경위
21. 어업위원회 회의록
22. 청구권위원회 회의록
제5부 제4차 한일회담 (1958.4.15.~60.4.19.)
23.예비교섭, (V.1 경무대와 주일대표부 간의 교환공문)
24.예비교섭, 1956~58(V.2 1957)
25.예비교섭, 1956~58(V.3 1958.1.~4.)
26.문화재소위원회 회의록 및 문화재 반환 교섭
27.선박소위원회 회의록
28.청구권위원회 회의록
29.청구권 관계자료
30.재일한인의 법적지위위원회 회의록
31.교섭 및 훈령
32.대표단 임면관계(1958~60)
33.본회의 회의록
34.어업 및 평화선위원회 회의록 및 일반문제
제6부 제5차 한일회담 예비회담 (1960.10.25.~61.5.15.)
35.대표단 임면관계
36.문화재소위원회 및 전문가 회의 보고
37.재일한인의 법적지위위원회 회의록 및 훈령, 비공식 회담 보고
38.본회의 회의록 및 사전 교섭, 비공식회담 보고
39.선박소위원회 회의록 및 대일반환청구선박 명단
40.어업 및 평화선위원회 회의록 및 비공식회담 보고
41.일반문제
42.재일한인 재산반입문제
43.일반청구권소위원회 회의록
44.미일평화조약 제4조(청구권관계)의 해석에 관한 미국무성 각서 공개
1.대일강화조약에 관한 기본태도와 그 법적 근거
2.본회의 회의록
3.재일한인의 법적지위문제 사전 교섭
4.청구권관계자료집:일본에 있는 구왕실재산목록(1951)
제2부 제1차 한일회담 (1952.2.22.~4.2.)
5.기본관계위원회 회의록
6.재일한인의 법적지위위원회 회의록
7.본회의 회의록
8.선박위원회 회의록
9.어업위원회 회의록
10.한국선박 반환관계(1948~1952)
11.청구권분과위원회 회의록
12.청구권관계자료(1950~1952)
제3부 제2차 한일회담 (1953.4.15.~7.23.)
13.국적 및 처우분과위원회 회의록
14.본회의 회의록
15.선박위원회 회의록
16.어업위원회 회의록
17.청구권위원회 회의록
18.어업관계자료
제4부 제3차 한일회담 (1953.10.6.~10.21.)
19. 국적 및 처우분과위원회 회의록
20.본회의 회의록 및 1~3차 한일회담 결렬경위
21. 어업위원회 회의록
22. 청구권위원회 회의록
제5부 제4차 한일회담 (1958.4.15.~60.4.19.)
23.예비교섭, (V.1 경무대와 주일대표부 간의 교환공문)
24.예비교섭, 1956~58(V.2 1957)
25.예비교섭, 1956~58(V.3 1958.1.~4.)
26.문화재소위원회 회의록 및 문화재 반환 교섭
27.선박소위원회 회의록
28.청구권위원회 회의록
29.청구권 관계자료
30.재일한인의 법적지위위원회 회의록
31.교섭 및 훈령
32.대표단 임면관계(1958~60)
33.본회의 회의록
34.어업 및 평화선위원회 회의록 및 일반문제
제6부 제5차 한일회담 예비회담 (1960.10.25.~61.5.15.)
35.대표단 임면관계
36.문화재소위원회 및 전문가 회의 보고
37.재일한인의 법적지위위원회 회의록 및 훈령, 비공식 회담 보고
38.본회의 회의록 및 사전 교섭, 비공식회담 보고
39.선박소위원회 회의록 및 대일반환청구선박 명단
40.어업 및 평화선위원회 회의록 및 비공식회담 보고
41.일반문제
42.재일한인 재산반입문제
43.일반청구권소위원회 회의록
44.미일평화조약 제4조(청구권관계)의 해석에 관한 미국무성 각서 공개
저자소개
2005년부터 한일외교사 연구를 중점과제로 설정하여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해왔다. 특히 한국 및 일본 정부가 공개한 한일회담 외교문서를 실증적으로 분석, 검토하고 작업을 독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는 해제집 및 자료집 및 단행본 등 다양한 형태로 출간되고 있다. 연구소의 연구영역은 점차 한일조약 이후의 한일관계 및 점령기의 한일관계사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원덕 - 국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일본학연구소 소장
박진희 -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안소영 - 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연구교수
김태기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이현진 -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정병준 -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박창건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유지아 - 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연구교수
정용욱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이원덕 - 국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일본학연구소 소장
박진희 -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안소영 - 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연구교수
김태기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이현진 -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정병준 -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박창건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유지아 - 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연구교수
정용욱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