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미생물의 참모습 : 마이크로바이옴에서 크리스퍼까지
원서명
La Nouvelle Microbiologie: Des microbiotes aux CRISPR
총서명
우리시대 질문총서{10}
저자
번역자
원저자
출판사
출판일
20220221
가격
₩ 18,000
ISBN
9788973167326
페이지
299 p.
판형
132 X 255 mm
커버
Book
책 소개
이번에 출간된 <우리시대 질문총서>는 기술·환경·휴머니즘·지역(부산) 등 우리 앞의 현실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우리 세계의 변화를 미시적이고 거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학문적 시각을 제공하는 한편, 도래할 세계와 지난간 미래의 쌍방향적 대화와 성찰을 통해 우리시대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예견하는 문제적 활동을 기획· 소개한다.
목차
발간사 7
저자 서문 10
감사의 말씀 17
제1부 미생물 바로 알기 19
제1장 세균: 아군인가, 적군인가? 21
제2장 세균: 아주 잘 조직화된 단세포 생명체 29
제3장 RNA 혁명 37
제4장 크리스퍼 방어체계와 CRISPR/Cas9 유전자가위 55
제5장 항생제 내성 65
제2부 세균의 사회생활: 미생물 사회학 85
제6장 생물막: 세균의 단합 87
제7장 세균의 의사소통: 화학적 언어와 정족수 인식 93
제8장 세균들 사이의 전쟁 99
제9장 세균과 동물의 공생 107
제10장 세균과 식물의 공생: 식물 미생물총 129
제11장 세포 내 공생관계 137
제3부 감염병 생물학 147
제12장 병원성 세균: 과거와 현재의 주요 감염병 149
제13장 병원성 세균의 생존 전략 187
제14장 곤충의 병원성 세균 201
제15장 식물의 병원성 세균 205
제16장 감염을 통제하는 새로운 비전 213
제4부 세균의 활용 219
제17장 세균이 연구의 도구가 되다 221
제18장 세균: 건강의 파수꾼 237
제19장 세균: 환경의 파수꾼 251
제20장 결론 257
미생물학의 거장들 261
참고문헌 264
그림의 출처 281
역자 후기Ⅰ 283
역자 후기Ⅱ 287
색인 290
저자 서문 10
감사의 말씀 17
제1부 미생물 바로 알기 19
제1장 세균: 아군인가, 적군인가? 21
제2장 세균: 아주 잘 조직화된 단세포 생명체 29
제3장 RNA 혁명 37
제4장 크리스퍼 방어체계와 CRISPR/Cas9 유전자가위 55
제5장 항생제 내성 65
제2부 세균의 사회생활: 미생물 사회학 85
제6장 생물막: 세균의 단합 87
제7장 세균의 의사소통: 화학적 언어와 정족수 인식 93
제8장 세균들 사이의 전쟁 99
제9장 세균과 동물의 공생 107
제10장 세균과 식물의 공생: 식물 미생물총 129
제11장 세포 내 공생관계 137
제3부 감염병 생물학 147
제12장 병원성 세균: 과거와 현재의 주요 감염병 149
제13장 병원성 세균의 생존 전략 187
제14장 곤충의 병원성 세균 201
제15장 식물의 병원성 세균 205
제16장 감염을 통제하는 새로운 비전 213
제4부 세균의 활용 219
제17장 세균이 연구의 도구가 되다 221
제18장 세균: 건강의 파수꾼 237
제19장 세균: 환경의 파수꾼 251
제20장 결론 257
미생물학의 거장들 261
참고문헌 264
그림의 출처 281
역자 후기Ⅰ 283
역자 후기Ⅱ 287
색인 290
저자소개
파스퇴르연구소의 교수이자 과학 아카데미의 종신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코사르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수많은 상을 수상했다.
연구 분야는 세포내 병원성 세균들, 특히 리스테리아의 생존 전략과 병원성 세균들의 RNA에 의한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코사르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수많은 상을 수상했다.
연구 분야는 세포내 병원성 세균들, 특히 리스테리아의 생존 전략과 병원성 세균들의 RNA에 의한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역자소개
장철훈
부산대 의대 교수로, 부산대학교를 졸업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이다.
현재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 근무하고 있고, 결핵관련 연구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신기술개발단장과 대한임상미생물학회 이사장을 지냈으며, 현재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이다.
역서로 [세상을 바꾼 12가지 질병]과 [원헬스-사람·동물·환경](공역)이 있다.
박형섭
부산대 인문대 불문과 교수로, 연세대 불문과를 졸업한 후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현대 프랑스희곡을 전공(문학박사)하고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이오네스코의 연극적 상상력], [앙토냉 아르토와 잔혹극](공저) 등이 있고, [노트와 반노트], [기호와 몽상], [문화국가], [장미의 기적], [도둑일기], [잔혹연극론] 등의 역서를 펴냈다.
부산대 의대 교수로, 부산대학교를 졸업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이다.
현재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 근무하고 있고, 결핵관련 연구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신기술개발단장과 대한임상미생물학회 이사장을 지냈으며, 현재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이다.
역서로 [세상을 바꾼 12가지 질병]과 [원헬스-사람·동물·환경](공역)이 있다.
박형섭
부산대 인문대 불문과 교수로, 연세대 불문과를 졸업한 후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현대 프랑스희곡을 전공(문학박사)하고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이오네스코의 연극적 상상력], [앙토냉 아르토와 잔혹극](공저) 등이 있고, [노트와 반노트], [기호와 몽상], [문화국가], [장미의 기적], [도둑일기], [잔혹연극론] 등의 역서를 펴냈다.
서평
이 책은 생물학에 문외한인 사람들을 포함하여 세균의 매혹적인 세계를 발견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미생물”은 더 이상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했던 존재가 아니다!
미생물학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미생물, 특히 세균은 아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또 병원균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에게 유익한 동반자로 다가온다. 세균은 아주 복잡한 사회생활을 하면서 서로 소통하고, 숙주와 상호작용하면서 살아간다. 말하자면 생명체에 정착해서 함께 공생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생물막, 식물과 동물에서 형성된 미생물총과 같이 세균들이 구성하고 있는 그들만의 사회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황색포도알균과 같은 세균들이 숙주에 침투할 때 놀랍도록 정교한 전략을 갖고 있다는 것도 알려지고 있다. 더욱이 세균의 면역체계에서 유래한 CRISPR/Cas9 시스템은 DNA를 문서편집기처럼 “편집”할 수 있는, 스위스 군용 칼 같은 분자 멀티툴을 우리 손에 안겨주었다. 이처럼 세균은 생물학에서 일어나는 혁명의 한가운데에 있는 생명체이다!
항생제 내성, 오징어에 있는 발광세균, 말라리아 매개 모기를 박멸하는 데 한몫하는 세균, 생물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세균, 그리고 장내 미생물의 신비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문가인 파스칼 코사르는 이 책에서 미생물학의 개요를 완벽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미생물”은 더 이상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했던 존재가 아니다!
미생물학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미생물, 특히 세균은 아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또 병원균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에게 유익한 동반자로 다가온다. 세균은 아주 복잡한 사회생활을 하면서 서로 소통하고, 숙주와 상호작용하면서 살아간다. 말하자면 생명체에 정착해서 함께 공생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생물막, 식물과 동물에서 형성된 미생물총과 같이 세균들이 구성하고 있는 그들만의 사회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황색포도알균과 같은 세균들이 숙주에 침투할 때 놀랍도록 정교한 전략을 갖고 있다는 것도 알려지고 있다. 더욱이 세균의 면역체계에서 유래한 CRISPR/Cas9 시스템은 DNA를 문서편집기처럼 “편집”할 수 있는, 스위스 군용 칼 같은 분자 멀티툴을 우리 손에 안겨주었다. 이처럼 세균은 생물학에서 일어나는 혁명의 한가운데에 있는 생명체이다!
항생제 내성, 오징어에 있는 발광세균, 말라리아 매개 모기를 박멸하는 데 한몫하는 세균, 생물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세균, 그리고 장내 미생물의 신비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문가인 파스칼 코사르는 이 책에서 미생물학의 개요를 완벽하게 설명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