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
총서명
한길신인문총서 04
저자
출판사
출판일
19990731
가격
₩ 20,000
ISBN
9788935652006
페이지
469 p.
판형
148 X 210 mm
커버
Book
책 소개
저자는 소쉬르 사상의 총체를 다루려는 과욕을 부리기보다는 다양한 그의 작품들의 사상적 연속성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말하고 있다. 언어의 닫힌 회로 속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적인 식견을 바탕으로 다른 인문사회과학자들과의 소통을 시도했던 소쉬르를 조명하고 있다. 이차문헌이나 해설서에 의존하지 않고 원전을 정면공략하여 소쉬르의 언어학 세계를 풀어간다.
목차
001. <1> 소쉬르학의 이정표
002. 소쉬르의 지성사 소묘
003.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발생, 형식, 운명
004. 소쉬르 읽기의 몇 가지 해법
005. 소쉬르 문헌학의 기본 서지: 소장수고 상황 및 목록 분석
006. <2>소쉬르 언어이론의 인식론
007. 소쉬르 사상의 새로운 이해: 언어기호의 자의성을 중심으로
008. 소쉬르의 언어이론과 현대인문학
009. 소쉬르 이론소들의 질서와 상보성
010. 소년 소쉬르의 야심과 회의: 소년시절의 논문을 중심으로
011. <3> 소쉬르 기호학의 새로운 지평
012. 소쉬르 기호학의 인식론적 구조
013. 소쉬르의 아나그람 연구
014. 소쉬르의 신화론: 새로운 기호학적 비전인가
015. 소쉬르의 서술성 개념
002. 소쉬르의 지성사 소묘
003.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발생, 형식, 운명
004. 소쉬르 읽기의 몇 가지 해법
005. 소쉬르 문헌학의 기본 서지: 소장수고 상황 및 목록 분석
006. <2>소쉬르 언어이론의 인식론
007. 소쉬르 사상의 새로운 이해: 언어기호의 자의성을 중심으로
008. 소쉬르의 언어이론과 현대인문학
009. 소쉬르 이론소들의 질서와 상보성
010. 소년 소쉬르의 야심과 회의: 소년시절의 논문을 중심으로
011. <3> 소쉬르 기호학의 새로운 지평
012. 소쉬르 기호학의 인식론적 구조
013. 소쉬르의 아나그람 연구
014. 소쉬르의 신화론: 새로운 기호학적 비전인가
015. 소쉬르의 서술성 개념
본문발췌
국내의 언어학계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 인문/사회과학 영역에서 가장 결정적인 취약점을 지적하라면 필자는 주저 없이 인식론적 시각의 결여를 손꼽을 것이다. 우리는 서구에서 생산된 지식과 이론을, 서구중심의 종속된 학문구도 속에서 이루어진 분배구조에 따라 정신없이 수용하여 한국적 현상에 적용하는 일에만 골몰한 나머지, 정작 서구 이론 그 자체의 철학적 토대, 즉 방법론적/존재론적 위상과 토대에 대해서는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고 비판의 ‘매수’를 사용하지 않았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같은 비판적 의식 자체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예 우리에게는 사용할 ‘매스’도 없었다. 이 같은 인식론적 시각은 결코 소수의 과학 철학자들에게 전담시킬 수 없는 모든 학문의 전공자들이 구비하고 있어야 할 최소한의 학자적 자질과 감수성의 문제라고 필자는 판단한다.
저자소개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10대학교로 유학하여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 연암 재단의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 교수, 플브라이트 펠로우 자격으로 하버드 대학교 방문 교수, 프랑스 리모주 대학교 석좌 초빙 교수 등을 지냈으며, 포스코 청암 문화 재단에서 아시아 연구 펠로우로 선정된 바 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이며, 세계기호학회 집행 위원과『세미오티카』지 편집 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기호학회, 국제인문언어학회의 편집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영상문화학회의 편집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기호학 분야의 권위지인『세미오티카』의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드그레』,『랑가주』,『코디카스』 등 국제 기호학 분야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데리다, 그레마스, 퍼스 등의 저서를 번역 출간했으며, 1996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현대 기호학 강의』,『 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구조에서 감성으로』,『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기호, 리듬, 우주』,『호모 모빌리쿠스』등 다수가 있다.
역자소개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10대학교로 유학하여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 연암 재단의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 교수, 플브라이트 펠로우 자격으로 하버드 대학교 방문 교수, 프랑스 리모주 대학교 석좌 초빙 교수 등을 지냈으며, 포스코 청암 문화 재단에서 아시아 연구 펠로우로 선정된 바 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이며, 세계기호학회 집행 위원과『세미오티카』지 편집 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기호학회, 국제인문언어학회의 편집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영상문화학회의 편집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기호학 분야의 권위지인『세미오티카』의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드그레』,『랑가주』,『코디카스』 등 국제 기호학 분야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데리다, 그레마스, 퍼스 등의 저서를 번역 출간했으며, 1996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현대 기호학 강의』,『 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구조에서 감성으로』,『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기호, 리듬, 우주』,『호모 모빌리쿠스』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