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조선시대 해항도시 부산의 모습 : 군항과 해항
총서명
해항도시문화교섭학번역총서 시리즈
저자
출판사
출판일
20180531
가격
₩ 28,000
ISBN
9791160681819
페이지
316 p.
판형
158 X 231 mm
커버
Book
책 소개
오늘날 부산을 나라의 관문이라고 부른다. 부산이 나라의 관문이 된 것은 부산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항만도시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부산이 나라를 대표하는 항만이 된 것은 조선 전기부터였다. 그것은 대일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공식적으로 일본에 대해 자주적인 개항을 하였기 때문이다.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부산항은 전면에 가로놓인 영도와 조도가 外海로부터 들어오는 거칠고 성난 파도를 막아주는 자연적인 방파제의 역할을 해주고 있어서, 말 그대로 항구로서 천혜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부산항의 지리적 범위는 서쪽의 남해안 가덕도 해안에서부터 동쪽의 동해안 기장군 해안까지를 포괄하는 해안인데, 요소요소에 천혜의 浦口를 안고 있다. 부산의 해안 지형은 산지가 해안에 임박하여 대부분 수심이 깊으며, 암석 절벽으로 된 해식대와 해식동 등이 발달하여 좋은 풍광을 선사하고 있으며, 곳곳에는 소규모 灣入이 발달하여 포구가 널려 있다. 때문에 대규모의 항구가 발달하기에 좋은 조건이지만, 다만 배후지가 넓지 못한 단점도 있다. 부산항의 항만시설은 해안을 따라서 널리 펼쳐져 있다. 신항, 북항, 남항, 감천항, 다대포항, 대변항, 수영만이다. 부산항은 기능에 따라 무역항, 어항, 군항, 여객항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종합항이다. 부산항의 역사는 근대적인 항만시설을 갖춘 근대항으로 개항한 1876년부터 잡는다. 그러나 부산항이 항구로서, 한반도의 관문으로서 자리 잡은 역사성을 토대로 부산항의 정체성을 세우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부산항이 가진 교류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집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책을 내면서 中)
목차
발간사
책을 내면서
들어가는 글
제1장 조선 전기의 부산항
1. 조선 전기의 군항
1) 좌수영과 포진
(1) 방어체제 속의 수군
(2) 좌수영과 포영
2) 수군과 전선
2. 조선 전기의 해항
1) 부산포왜관
(1) 부산포의 개항
(2) 부산포왜관의 설치와 변화
(3) 부산포왜관의 문화교섭
2) 왜변 이후 일본의 내왕
제2장 임진왜란 시기의 부산항
1. 임진왜란 시기의 군항
1) 부산진성전투
(1) 전투의 배경
(2) 전투의 경과
(3) 전투의 결과와 의미
2) 다대진성전투
(1) 전투의 배경
(2) 전투의 전개
(3) 다대진성전투의 기억
3) 부산포해전
(1) 부산포해전 이전의 상황
(2) 부산포해전의 전황
(3) 부산포해전의 결과와 의미
2. 임진왜란 시기의 해항
1) 강화 사절의 내왕
2) 부산왜성
(1) 부산왜성의 이문화 혼종
(2) 부산왜성의 혼종 모습
3) 절영도 임시왜관
제3장 조선 후기의 부산항
1. 조선 후기의 군항
1) 방어체제 변화 속의 수군
2) 수군과 전선
3) 좌수영과 7진
4) 다대진
(1) 다대진성의 역사
(2) 다대진성의 운영
(3) 다대진성의 구조와 건물
5) 절영도진
(1) 절영도진의 설치
(2) 절영도진의 운영
(3) 절영도진의 재정
2. 조선 후기의 해항
1) 두모포왜관
(1) 왜관의 위치와 공간
(2) 두모포왜관의 교류 모습
2) 초량왜관
(1) 문화접촉의 공간
(2) 문화교류와 교섭
(3) 초량왜관의 문화교류 모습
(4) 표민수수소
3) 조선통신사
(1) 통신사의 여정
(2) 사행단의 구성
(3) 전별연과 해신제
(4) 경상좌수영의 통신사선 제조
(5) 조선 후기 일본 선박의 내왕
(6) 영가대
맺는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을 내면서
들어가는 글
제1장 조선 전기의 부산항
1. 조선 전기의 군항
1) 좌수영과 포진
(1) 방어체제 속의 수군
(2) 좌수영과 포영
2) 수군과 전선
2. 조선 전기의 해항
1) 부산포왜관
(1) 부산포의 개항
(2) 부산포왜관의 설치와 변화
(3) 부산포왜관의 문화교섭
2) 왜변 이후 일본의 내왕
제2장 임진왜란 시기의 부산항
1. 임진왜란 시기의 군항
1) 부산진성전투
(1) 전투의 배경
(2) 전투의 경과
(3) 전투의 결과와 의미
2) 다대진성전투
(1) 전투의 배경
(2) 전투의 전개
(3) 다대진성전투의 기억
3) 부산포해전
(1) 부산포해전 이전의 상황
(2) 부산포해전의 전황
(3) 부산포해전의 결과와 의미
2. 임진왜란 시기의 해항
1) 강화 사절의 내왕
2) 부산왜성
(1) 부산왜성의 이문화 혼종
(2) 부산왜성의 혼종 모습
3) 절영도 임시왜관
제3장 조선 후기의 부산항
1. 조선 후기의 군항
1) 방어체제 변화 속의 수군
2) 수군과 전선
3) 좌수영과 7진
4) 다대진
(1) 다대진성의 역사
(2) 다대진성의 운영
(3) 다대진성의 구조와 건물
5) 절영도진
(1) 절영도진의 설치
(2) 절영도진의 운영
(3) 절영도진의 재정
2. 조선 후기의 해항
1) 두모포왜관
(1) 왜관의 위치와 공간
(2) 두모포왜관의 교류 모습
2) 초량왜관
(1) 문화접촉의 공간
(2) 문화교류와 교섭
(3) 초량왜관의 문화교류 모습
(4) 표민수수소
3) 조선통신사
(1) 통신사의 여정
(2) 사행단의 구성
(3) 전별연과 해신제
(4) 경상좌수영의 통신사선 제조
(5) 조선 후기 일본 선박의 내왕
(6) 영가대
맺는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강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인문한국교수(조선시대사, 한일문화교섭학, 임진왜란사 전공)
-주요 논저
「《漂人領來謄錄》 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세계」,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문화교섭 양상: 초량왜관을 중심으로」, 「개항기 해항도시 부산의 절영도진 설치와 운영」,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문화교섭으로 본 임진왜란』,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문무를 갖춘 양반의 나라』, 『부산의 해양문화유산을 찾아서』(공저), 『해항도시 부산의 재발견』(공저) 등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인문한국교수(조선시대사, 한일문화교섭학, 임진왜란사 전공)
-주요 논저
「《漂人領來謄錄》 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세계」,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문화교섭 양상: 초량왜관을 중심으로」, 「개항기 해항도시 부산의 절영도진 설치와 운영」,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문화교섭으로 본 임진왜란』,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문무를 갖춘 양반의 나라』, 『부산의 해양문화유산을 찾아서』(공저), 『해항도시 부산의 재발견』(공저) 등
서평
오늘날 부산을 나라의 관문이라고 부른다. 부산이 나라의 관문이 된 것은 부산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항만도시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부산이 나라를 대표하는 항만이 된 것은 조선 전기부터였다. 그것은 대일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공식적으로 일본에 대해 자주적인 개항을 하였기 때문이다.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부산항은 전면에 가로놓인 영도와 조도가 外海로부터 들어오는 거칠고 성난 파도를 막아주는 자연적인 방파제의 역할을 해주고 있어서, 말 그대로 항구로서 천혜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부산항의 지리적 범위는 서쪽의 남해안 가덕도 해안에서부터 동쪽의 동해안 기장군 해안까지를 포괄하는 해안인데, 요소요소에 천혜의 浦口를 안고 있다.
부산의 해안 지형은 산지가 해안에 임박하여 대부분 수심이 깊으며, 암석 절벽으로 된 해식대와 해식동 등이 발달하여 좋은 풍광을 선사하고 있으며, 곳곳에는 소규모 灣入이 발달하여 포구가 널려 있다. 때문에 대규모의 항구가 발달하기에 좋은 조건이지만, 다만 배후지가 넓지 못한 단점도 있다. 부산항의 항만시설은 해안을 따라서 널리 펼쳐져 있다. 신항, 북항, 남항, 감천항, 다대포항, 대변항, 수영만이다. 부산항은 기능에 따라 무역항, 어항, 군항, 여객항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종합항이다.
부산항의 역사는 근대적인 항만시설을 갖춘 근대항으로 개항한 1876년부터 잡는다. 그러나 부산항이 항구로서, 한반도의 관문으로서 자리 잡은 역사성을 토대로 부산항의 정체성을 세우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부산항이 가진 교류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집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책을 내면서 中)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부산항은 전면에 가로놓인 영도와 조도가 外海로부터 들어오는 거칠고 성난 파도를 막아주는 자연적인 방파제의 역할을 해주고 있어서, 말 그대로 항구로서 천혜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부산항의 지리적 범위는 서쪽의 남해안 가덕도 해안에서부터 동쪽의 동해안 기장군 해안까지를 포괄하는 해안인데, 요소요소에 천혜의 浦口를 안고 있다.
부산의 해안 지형은 산지가 해안에 임박하여 대부분 수심이 깊으며, 암석 절벽으로 된 해식대와 해식동 등이 발달하여 좋은 풍광을 선사하고 있으며, 곳곳에는 소규모 灣入이 발달하여 포구가 널려 있다. 때문에 대규모의 항구가 발달하기에 좋은 조건이지만, 다만 배후지가 넓지 못한 단점도 있다. 부산항의 항만시설은 해안을 따라서 널리 펼쳐져 있다. 신항, 북항, 남항, 감천항, 다대포항, 대변항, 수영만이다. 부산항은 기능에 따라 무역항, 어항, 군항, 여객항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종합항이다.
부산항의 역사는 근대적인 항만시설을 갖춘 근대항으로 개항한 1876년부터 잡는다. 그러나 부산항이 항구로서, 한반도의 관문으로서 자리 잡은 역사성을 토대로 부산항의 정체성을 세우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부산항이 가진 교류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집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책을 내면서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