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책 내용 미리보기
박정희시대와 한국현대사 : 연구자와 체험자의 대화
총서명 국제한국학연구소 학술총서{003}
저자 정성화,강규형 공저
출판사 선인
출판일 20071025
가격 ₩ 25,000
ISBN 9788959330966
페이지 415 p.
판형 188 X 254 mm
커버 Book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책 소개
[머리말] 이번에 발행하는 학술총서는 "박정희시대와 한국현대사"라는 주제로 2005년 12월에 개최되었던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편집ㆍ출판한 것이다. 이 학술대회에는 국내의 대표적인 박정희 연구자들은 물론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지에서 뛰어난 연구실적을 보여준 해외 연구자들이 참여해 열띤 발표와 토론을 전개했다. [양장본]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목차
박정희 정부와 언론기관들

박정희시대의 언론

박정희와 군부 - 군 지배구도에 대한 동태적 접근

박정희시대 복지연금제도의 형성과 시행유보에 관한 수정주의적 일고찰

「8ㆍ15 평화통일구상 선언」 :
지도자의 비전, 시스템과 정제된 언어

박정희와 정당정치 :
권위주의 정당체제 수립에 실패한 원인과 결과

박정희와 지식인 : 권력-지식의 상관관계

박정희시대의 과학기술정책

찾아보기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저자소개
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사학과 졸업
인디애나대학교 역사학 석사
오하이오대학교 역사학 박사(서양현대사?러시아사?국제관계사 전공)

오하이오대학교 현대사연구소 연구원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연구교수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조교수?부교수?주임교수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고정 칼럼니스트
진실과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KBS교향악단 운영위원
서울스프링실내악페스티벌(SSF) 집행위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행동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기후변화에너지대책포럼 국제협력위원장

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 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시청자권익위원회 위원
[수필춘추] 등단 수필가
  • 책 소개
  • 목차
  • 저자소개
  • 서평
서평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는 2004년부터 박정희와 박정희시대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장기 연구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다. 압축적 산업화, 격변적 사회변동, 눈부신 민주화 과정 등을 경험한 한국현대사에서 박정희는 필수 불가결한 연구대상임을 확신했기 때문이다. 박정희와 그의 시대는 이미 종식되었지만 현재에도 많은 논쟁을 유발하고 있는 주제이다. 그의 시대가 끝난 지 어언 4반세기가 넘어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정파적이거나 저널리스틱한 접근이 아닌 학술적으로 진지하게 이 주제를 다뤄야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그동안 가시적인 성과물을 학계에 제공하였다.
2005년 한 해 동안 개최한 학술포럼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편집, 출간한“박정희시대의 쟁점과 과제”(도서출판 선인, 2005)와 2005년 12월에 개최한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편집, 출간한“박정희시대와 한국현대사”(도서출판 선인, 2006)가 바로 그 성과물들입니다.

본 연구는 단순히 전문적인 학술논문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이전의 방식과는 달리, 박정희시대에 대한 중요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자들이 해당 주제와 관련된 학술논문을 발표한 후에, 그를 측근에서 접했던 인사들과 밖에서 관찰했던 인사들이 연구자의 논문주제와 관련된 증언을 제시하고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으며, 연구자의 학문적인 정리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인 동시에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수집의 자리임을 주지하고 연구에 필요한 질문을 중심으로 증언자의 증언을 청취해 질의하며, 이를 참고로 연구논문을 보완하였다. 또한 증언자들의 녹취자료를 서면으로 작성해서 증언자에게 송부하고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요즘 한창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구술사(口述史, oral history)를 적극적으로 포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정책결정과정이나 최상위 정치행위에서 흔히 문헌기록이 남지 않은 경우가 많기에, 구술기록은 문헌기록에서 결핍된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술사의 장점을 활용해 본 연구소는 박정희시대 중요 핵심 쟁점들에 대해 문헌기록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술기록을 녹취하고 후세에 남기고자 한다. 또한 그 시대의 중요 인물들이 이제 대부분 연로한 연세이기에 늦기 전에 기록을 남기려는 목적도 있다.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문헌자료와 구술기록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게 되길 바란다.
Copyright ⓒ E-CIP Content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