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한국의 문화유산
총서명
민족문화교양총서 02
저자
출판사
출판일
19980303
가격
₩ 12,000
ISBN
9788973160648
페이지
390 p.
판형
188 X 257 mm
커버
Book
책 소개
석굴암, 팔만대장경, 종묘, 수원성, 한글, 조선왕조실록, 김치 등과 같이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우리의 다양하고 풍부한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그 역사성과 의의를 밝혀놓은 책. 이 분야 전공 교수 및 전문가 20여 명이 집필하였다. 책을 읽는 독자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은 물론, 급변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민족적 삶을 오늘의 삶에 보다 생산적이고 합리적인 자세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001. 총론 / 문화와 문화유산
002. 석굴암의 창건과 그 배경
003. 불탑과 불상
004. 고려의 불사건축
005. 고려청자
006. 정조와 화성 건설
007. 고려 대장경
008. 한글과 민족문화
009. 조선왕조실록의 역사의식
010. 종묘와 의례
011. 문집의 이해
012. 인쇄문화
013. 서당과 전통교육
014. 향교와 서원
015. 성씨와 족보
016. 전통식품과 식생활
017. 전통복식의 이해
018. 첨성대와 천문학
019. 거북선과 조선기술
020. 동의보감과 민족의학
021. 농업기술
002. 석굴암의 창건과 그 배경
003. 불탑과 불상
004. 고려의 불사건축
005. 고려청자
006. 정조와 화성 건설
007. 고려 대장경
008. 한글과 민족문화
009. 조선왕조실록의 역사의식
010. 종묘와 의례
011. 문집의 이해
012. 인쇄문화
013. 서당과 전통교육
014. 향교와 서원
015. 성씨와 족보
016. 전통식품과 식생활
017. 전통복식의 이해
018. 첨성대와 천문학
019. 거북선과 조선기술
020. 동의보감과 민족의학
021. 농업기술
저자소개
1994년 새롭게 출발하여 한국학과 지역학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우수연구소(1997),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2001), 동 재단 인문한국(HK)지원사업 대형연구소(2007)로 선정되었다. 학술총서, 번역총서, 교양총서, 자료총서, <한국민족문화>(등재 학술지) 등을 출판하면서 그 연구결과를 학계 및 시민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평
석굴암, 팔만대장경, 종묘, 수원성, 한글, 조선왕조실록, 김치 등과 같이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우리의 다양하고 풍부한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그 역사성과 의의를 이 분야 전공 교수 및 전문가 20여 명이 집필하였다. 이에 이 책을 읽는 독자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은 물론, 급변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민족적 삶을 오늘의 삶에 보다 생산적이고 합리적인 자세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