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무미건조한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한 하루
원서명
87歳、古い団地で愉しむ ひとりの暮らし
저자
번역자
원저자
출판사
출판일
20230120
가격
₩ 16,000
ISBN
9791197829857
페이지
216 p.
판형
130 X 210 mm
커버
Book
책 소개
유튜브 경력 3년 차, 구독자 15만 명, 누적 1,500만 조회 수 55년 된 15평 임대아파트 온라인 집들이 영상 190만 회 생애 첫 영상 240만 회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 브이로그 “이렇게 살고 싶어!” “저렇게 나이 들고 싶어요.” 공감과 응원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Earth 할머니 채널〉
이보다 더 완벽한 ‘홀로 라이프’는 없다 “요리 레시피를 배우고 싶어요.” “보고 있으면 왠지 힘이 납니다.” “우리 할머니가 생각나요.” “오래오래 살아주세요.” 감탄, 공감, 응원, 소망, 희망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유튜브 채널. 세계적인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85세의 나이에 처음 시작한 일본의 〈Earth 할머니 채널〉이다. 1934년생으로 올해 88세를 맞이하는 주인공 타라 미치코의 영상이 어떻게 15만 구독자에 누적 조회 수 1500만 회를 넘어섰을까? 영상을 들여다보면 딱히 특별한 것이 없다. 90세의 최고령 게임 유튜버처럼 특이한 이력으로 활동하지도 않는다.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거나 지식을 뽐내거나 특별한 요리 레시피가 등장하지도 않는다. 그저 55년째 살고 있는 임대아파트 여기저기를 보여주고, 아침 점심 저녁 세 끼를 해 먹는 모습, 예쁜 그릇에 담은 점심 한 상, 아파트 화단에서 꺾어 와 창가에 놓아둔 들꽃 등 화면 너머에는 소소한 일상이 펼쳐질 뿐이다. 언뜻 보면 여느 집과 다름없게 느껴질 법한 광경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짧지 않은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고 댓글까지 남기며 감동하는 것일까? 그 공간에는 한 사람의 삶 전체가 온전히, 켜켜이 쌓아온 세월이 고스란히 묻어나기 때문이다. 오래된 물건에는 스토리가 쌓이게 마련이듯이, 물 끓이는 주전자 하나, 전화기를 덮은 천 조각 하나조차 특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보다 더 완벽한 ‘홀로 라이프’는 없다 “요리 레시피를 배우고 싶어요.” “보고 있으면 왠지 힘이 납니다.” “우리 할머니가 생각나요.” “오래오래 살아주세요.” 감탄, 공감, 응원, 소망, 희망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유튜브 채널. 세계적인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85세의 나이에 처음 시작한 일본의 〈Earth 할머니 채널〉이다. 1934년생으로 올해 88세를 맞이하는 주인공 타라 미치코의 영상이 어떻게 15만 구독자에 누적 조회 수 1500만 회를 넘어섰을까? 영상을 들여다보면 딱히 특별한 것이 없다. 90세의 최고령 게임 유튜버처럼 특이한 이력으로 활동하지도 않는다.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거나 지식을 뽐내거나 특별한 요리 레시피가 등장하지도 않는다. 그저 55년째 살고 있는 임대아파트 여기저기를 보여주고, 아침 점심 저녁 세 끼를 해 먹는 모습, 예쁜 그릇에 담은 점심 한 상, 아파트 화단에서 꺾어 와 창가에 놓아둔 들꽃 등 화면 너머에는 소소한 일상이 펼쳐질 뿐이다. 언뜻 보면 여느 집과 다름없게 느껴질 법한 광경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짧지 않은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고 댓글까지 남기며 감동하는 것일까? 그 공간에는 한 사람의 삶 전체가 온전히, 켜켜이 쌓아온 세월이 고스란히 묻어나기 때문이다. 오래된 물건에는 스토리가 쌓이게 마련이듯이, 물 끓이는 주전자 하나, 전화기를 덮은 천 조각 하나조차 특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목차
머리말_마지막이 언제일지 모르지만 살아 있는 동안은
chapter 1 혼자라서 외로운 게 아니라 혼자라서 자유롭게
집은 낡고 오래된 나만의 성입니다
생의 마지막 순간 머물고 싶은 곳
혼자 보내는 시간, 나에게 위로를 주었던 것들
살아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사람들
85세에도 새로운 세상을 만날 수 있습니다
할 수 없는 일이 늘어나도 할 수 있는 일을 즐깁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혼자 살아도 괜찮습니다
chapter 2 나이 들수록 간단하게 그러나 품격을 잃지 않는 한 끼를
가끔 한 끼에 정성을 쏟는 즐거움도 있습니다
나이 들수록 가볍게, 하지만 좋아하는 것을 즐깁니다
예쁜 그릇은 오래된 친구입니다
혼자 먹기 딱 좋은 나만의 식단을 꾸립니다
사과 껍질 하나도 감사히 먹습니다
87세 고독한 혼밥러의 식탁
술 한 잔에 하루를 흘려보내는 시간
가끔은 ‘수고로움’을 즐깁니다
chapter 3 무리하지 말고 내 몸이 할 수 있는 딱 그만큼
지극히 단순한 일상에서 평온함을 누립니다
나만의 속도를 유지하며 천천히 혼자
은은하고 달콤한 바닐라 맛 아침
무미건조한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한 하루
엘리베이터 없는 아파트 4층에 삽니다
가끔은 몰입의 기쁨도 누립니다
잊혀지지만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을 위해
chapter 4 소소한 삶에 작은 변화도 큰 즐거움입니다
오래된 천 조각도 제 몫을 톡톡히 합니다
길가에 핀 꽃으로 창가에 계절을 들여놓습니다
책 읽는 즐거움, 하루가 완벽해집니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바느질은 나만의 힐링 시간
집 안에서 세계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87세에도 나만의 스타일을 가꿉니다
10년 동안 쓴 일기, 가끔 추억을 되돌아봅니다
chapter 5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게 딱 적당한 거리
너무 깊이 관여하지 않고 그저 만나서 좋은 가족
나이가 어려도 친구처럼 선생님처럼
80세, 혼자 여행을 떠났습니다
완벽함에 집착하지 않고 적당히도 괜찮습니다
각자의 삶, 아주 가끔 만나도 좋습니다
chapter 6 집도, 재산도 없지만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많이 가지지는 못해도 원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65년 동안 쓴 가계부, 온전한 삶이 담겨 있습니다
나를 떠나보내는 남겨진 사람들의 방식
무엇이든 남기지 않고 떠나려 합니다
chapter 7 늘 그래 왔듯이 지금을 즐기려 합니다
‘어떻게든 되겠지’, 내일은 또 다른 해가 뜹니다
나이 드는 것이 오히려 기대되는 이유
할 수 있는 일은 스스로 하되 도움은 감사히
chapter 1 혼자라서 외로운 게 아니라 혼자라서 자유롭게
집은 낡고 오래된 나만의 성입니다
생의 마지막 순간 머물고 싶은 곳
혼자 보내는 시간, 나에게 위로를 주었던 것들
살아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사람들
85세에도 새로운 세상을 만날 수 있습니다
할 수 없는 일이 늘어나도 할 수 있는 일을 즐깁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혼자 살아도 괜찮습니다
chapter 2 나이 들수록 간단하게 그러나 품격을 잃지 않는 한 끼를
가끔 한 끼에 정성을 쏟는 즐거움도 있습니다
나이 들수록 가볍게, 하지만 좋아하는 것을 즐깁니다
예쁜 그릇은 오래된 친구입니다
혼자 먹기 딱 좋은 나만의 식단을 꾸립니다
사과 껍질 하나도 감사히 먹습니다
87세 고독한 혼밥러의 식탁
술 한 잔에 하루를 흘려보내는 시간
가끔은 ‘수고로움’을 즐깁니다
chapter 3 무리하지 말고 내 몸이 할 수 있는 딱 그만큼
지극히 단순한 일상에서 평온함을 누립니다
나만의 속도를 유지하며 천천히 혼자
은은하고 달콤한 바닐라 맛 아침
무미건조한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한 하루
엘리베이터 없는 아파트 4층에 삽니다
가끔은 몰입의 기쁨도 누립니다
잊혀지지만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을 위해
chapter 4 소소한 삶에 작은 변화도 큰 즐거움입니다
오래된 천 조각도 제 몫을 톡톡히 합니다
길가에 핀 꽃으로 창가에 계절을 들여놓습니다
책 읽는 즐거움, 하루가 완벽해집니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바느질은 나만의 힐링 시간
집 안에서 세계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87세에도 나만의 스타일을 가꿉니다
10년 동안 쓴 일기, 가끔 추억을 되돌아봅니다
chapter 5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게 딱 적당한 거리
너무 깊이 관여하지 않고 그저 만나서 좋은 가족
나이가 어려도 친구처럼 선생님처럼
80세, 혼자 여행을 떠났습니다
완벽함에 집착하지 않고 적당히도 괜찮습니다
각자의 삶, 아주 가끔 만나도 좋습니다
chapter 6 집도, 재산도 없지만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많이 가지지는 못해도 원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65년 동안 쓴 가계부, 온전한 삶이 담겨 있습니다
나를 떠나보내는 남겨진 사람들의 방식
무엇이든 남기지 않고 떠나려 합니다
chapter 7 늘 그래 왔듯이 지금을 즐기려 합니다
‘어떻게든 되겠지’, 내일은 또 다른 해가 뜹니다
나이 드는 것이 오히려 기대되는 이유
할 수 있는 일은 스스로 하되 도움은 감사히
본문발췌
꾸미지 않은 것들의 존재감
타라 미치코는 유튜브를 시작하고 책을 내게 된 것을 ‘87년간 살아온 삶에 대한 보상이겠지’라고 생각한다. 어마어마한 성과를 내면서 살아온 것이 아니라 그저 일상을 소중하게 살아온 것, 시간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온 것에 대한 보상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누구보다 사랑한 보상일 것이다.
그녀는 뜨개질을 하듯 살아온 듯하다. 누군가 만들어놓은 보기 좋은 천을 사다가 둘러놓은 것이 아니라 87년 동안 조금씩 한땀 한땀 촘촘히 얽어낸 일상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55년 된, 엘리베이터도 없는 4층 아파트, 1평도 되지 않을 법한 아파트 단지의 좁디좁은 화단, 오랫동안 모아온 예쁜 그릇, 직접 바느질하고 뜨개질한 침대 시트, 손수 그린 그림, 그녀의 손길이 닿지 않은 물건이 없다. 그녀는 15평 좁은 아파트가 좋은 이유를 모든 공간이 자신의 눈길이 닿는 거리에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매 시간 자신이 살아가는 것을 느끼고,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에 눈길을 주고 손길을 닿게 하며 살아왔다. 그만큼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모습에 사람들이 감동하는 것이다.
무맛 오트밀 같기도, 톡 쏘는 레몬 같기도 한 일상
타라 미치코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평범하기 그지없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체조를 하고 아침을 먹고 집안일을 하고 뭔가를 배우러 나가고 점심을 먹고 저녁을 먹고 잠자리에 드는 것이 전부다. 가끔 화단을 가꾸고, 텔레비전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고, 좋아하는 오래된 영화를 보고, 올드팝송을 들으면서 청소를 한다. 그녀가 매일 먹는 오트밀처럼 무미건조하고 무맛인 일상이 이어진다.
그러나 그저 그런 일상에서 그녀의 세련된 취향과 감성이 엿보인다. 그녀의 머리칼 색인 그레이와 달리 집 안은 알록달록 총천연색이지만 자연스럽고 조화롭다. 저녁에는 젊은이들처럼 간단한 안주에 혼술을 즐긴다. 일본 술, 소주, 그리고 가끔은 위스키를 마신다. 그것도 딱 한 잔. 기분 좋을 정도로, 몸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가 적당하다. 노인들의 취향처럼 불경 필사를 하지만, 또 가끔은 ‘베토벤 합창교향곡’을 부르는 합창단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현대인은 반복된 일상에서 불안감을 느낀다. 뭔가 새로운 일에 도전해야 할 것 같은 조급증을 가지고 있다. 특히 SNS가 일상이 된 시대에는 특별한 것에 대한 강박증을 가지고 타인의 삶과 비교하면서 자존감은 한없이 떨어진다. 이것은 일상과 이벤트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에는 그 어떤 꾸밈이나 거창한 이벤트도 없다. 어제와 다름없는 오늘에서 편안함을 찾으며 가끔 톡 쏘는 레몬맛 같은 즐거움을 즐긴다. 평범한 식탁에 우드 트레이를 놓는 것, 어두운 화장실에 화려한 들꽃을 꽂아두는 것, 밋밋한 주방에 빨간 주전자를 놓는 것, 무맛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하는 것, 딱 그 정도다. 그 사소하지만 절묘한 균형에 일상이 반짝거린다. 젊은이들은 흉내 낼 수 없는 낭만이다.
이렇게 살아도 괜찮아!
타라 미치코의 삶은 세상의 모든 평범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준다. ‘그래, 특별하게 살지 않아도 돼’,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성공한 삶만이 진짜 삶이 아니야’라고 말이다. 삶의 90퍼센트는 일상이다. 기나긴 인생에서 특별한 이벤트는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 한순간이 지나면 또다시 일상이다. 그래서 타라 미치코는 원하는 삶을 살아왔고, 돌아보면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87세의 일상은 무너지기 쉽다. 혼자 할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들고 힘에 부친다. 몸이 그러하니 마음은 더욱 무너지기 쉽다. 그래서 어묵 세 조각도 예쁜 그릇에 담아 먹는 그녀의 삶이 특별해 보인다. 누군가에게 의지하기 쉬운 나이, 몸은 혼자이지만 마음은 홀로임을 이겨내지 못하기 쉽다.
이 책은 진정으로 홀로 사는 삶의 가치와 즐거움을 일깨워준다.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에서 만족을 느낄 줄 알고,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혼자서도 당당히 해낸다. 지금 이 순간을 가장 행복하게 살아가는 법,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훨씬 적은 삶에서 내일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를 찾게 될 것이다.
타라 미치코는 유튜브를 시작하고 책을 내게 된 것을 ‘87년간 살아온 삶에 대한 보상이겠지’라고 생각한다. 어마어마한 성과를 내면서 살아온 것이 아니라 그저 일상을 소중하게 살아온 것, 시간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온 것에 대한 보상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누구보다 사랑한 보상일 것이다.
그녀는 뜨개질을 하듯 살아온 듯하다. 누군가 만들어놓은 보기 좋은 천을 사다가 둘러놓은 것이 아니라 87년 동안 조금씩 한땀 한땀 촘촘히 얽어낸 일상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55년 된, 엘리베이터도 없는 4층 아파트, 1평도 되지 않을 법한 아파트 단지의 좁디좁은 화단, 오랫동안 모아온 예쁜 그릇, 직접 바느질하고 뜨개질한 침대 시트, 손수 그린 그림, 그녀의 손길이 닿지 않은 물건이 없다. 그녀는 15평 좁은 아파트가 좋은 이유를 모든 공간이 자신의 눈길이 닿는 거리에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매 시간 자신이 살아가는 것을 느끼고,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에 눈길을 주고 손길을 닿게 하며 살아왔다. 그만큼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모습에 사람들이 감동하는 것이다.
무맛 오트밀 같기도, 톡 쏘는 레몬 같기도 한 일상
타라 미치코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평범하기 그지없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체조를 하고 아침을 먹고 집안일을 하고 뭔가를 배우러 나가고 점심을 먹고 저녁을 먹고 잠자리에 드는 것이 전부다. 가끔 화단을 가꾸고, 텔레비전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고, 좋아하는 오래된 영화를 보고, 올드팝송을 들으면서 청소를 한다. 그녀가 매일 먹는 오트밀처럼 무미건조하고 무맛인 일상이 이어진다.
그러나 그저 그런 일상에서 그녀의 세련된 취향과 감성이 엿보인다. 그녀의 머리칼 색인 그레이와 달리 집 안은 알록달록 총천연색이지만 자연스럽고 조화롭다. 저녁에는 젊은이들처럼 간단한 안주에 혼술을 즐긴다. 일본 술, 소주, 그리고 가끔은 위스키를 마신다. 그것도 딱 한 잔. 기분 좋을 정도로, 몸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가 적당하다. 노인들의 취향처럼 불경 필사를 하지만, 또 가끔은 ‘베토벤 합창교향곡’을 부르는 합창단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현대인은 반복된 일상에서 불안감을 느낀다. 뭔가 새로운 일에 도전해야 할 것 같은 조급증을 가지고 있다. 특히 SNS가 일상이 된 시대에는 특별한 것에 대한 강박증을 가지고 타인의 삶과 비교하면서 자존감은 한없이 떨어진다. 이것은 일상과 이벤트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에는 그 어떤 꾸밈이나 거창한 이벤트도 없다. 어제와 다름없는 오늘에서 편안함을 찾으며 가끔 톡 쏘는 레몬맛 같은 즐거움을 즐긴다. 평범한 식탁에 우드 트레이를 놓는 것, 어두운 화장실에 화려한 들꽃을 꽂아두는 것, 밋밋한 주방에 빨간 주전자를 놓는 것, 무맛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하는 것, 딱 그 정도다. 그 사소하지만 절묘한 균형에 일상이 반짝거린다. 젊은이들은 흉내 낼 수 없는 낭만이다.
이렇게 살아도 괜찮아!
타라 미치코의 삶은 세상의 모든 평범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준다. ‘그래, 특별하게 살지 않아도 돼’,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성공한 삶만이 진짜 삶이 아니야’라고 말이다. 삶의 90퍼센트는 일상이다. 기나긴 인생에서 특별한 이벤트는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 한순간이 지나면 또다시 일상이다. 그래서 타라 미치코는 원하는 삶을 살아왔고, 돌아보면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87세의 일상은 무너지기 쉽다. 혼자 할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들고 힘에 부친다. 몸이 그러하니 마음은 더욱 무너지기 쉽다. 그래서 어묵 세 조각도 예쁜 그릇에 담아 먹는 그녀의 삶이 특별해 보인다. 누군가에게 의지하기 쉬운 나이, 몸은 혼자이지만 마음은 홀로임을 이겨내지 못하기 쉽다.
이 책은 진정으로 홀로 사는 삶의 가치와 즐거움을 일깨워준다.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에서 만족을 느낄 줄 알고,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혼자서도 당당히 해낸다. 지금 이 순간을 가장 행복하게 살아가는 법,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훨씬 적은 삶에서 내일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를 찾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55년 전 가나가와현의 아파트에 가족과 함께 살며 아이들을 키우고 자녀들을 독립시키고 7년 전 남편을 떠나보낸 후 여전히 그 아파트에서 혼자만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1934년 나가사키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에 원폭 투하로 피폭자 건강수첩이 교부된 피폭 피해자이지만 87년째 여전히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예전부터 집 꾸미기를 무척 좋아했고, 독서와 뜨개질, 그림 그리기, 화단 가꾸기, 영화 감상 등 ‘홀로 보내는 시간’을 사랑해 마지않는다. 65세의 늦은 나이에 조리사 자격증을 취득한 그녀는 간단하고 쉽게 만드는 요리를 즐긴다. 2020년 당시 중학생이던 손자가 촬영하고 유튜브에 〈Earth 할머니 채널(Earthおばあちゃんねる)〉을 개설하면서 또 다른 세상을 만나기 시작했다. 손때 묻은 정갈한 살림으로 밥을 짓고 손주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고 화단을 가꾸는 별것 없는 일상이 사람들의 마음에 닿아 구독자 15만 명, 전체 영상의 누적 조회 수가 1,500만 회에 이른다. 그녀의 마지막 바람은 이 오래된 아파트에서 혼자만의 삶을 계속 즐기는 것이다.
https://www.youtube.com/c/Earth_Grandma
https://www.youtube.com/c/Earth_Grandma
역자소개
일본 문화복장학원에서 인더스트리얼 머천다이징을 전공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과를 졸업했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의 출판기획 및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세상을 바꾼 엉뚱한 세금 이야기], [무서운 방], [살아 있는 회사 죽어 있는 회사] 등이 있다.
서평
유튜브 경력 3년 차, 구독자 15만 명, 누적 1,500만 조회 수
55년 된 15평 임대아파트 온라인 집들이 영상 190만 회
생애 첫 영상 240만 회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 브이로그
“이렇게 살고 싶어!”
“저렇게 나이 들고 싶어요.”
공감과 응원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이보다 더 완벽한 ‘홀로 라이프’는 없다
“요리 레시피를 배우고 싶어요.”
“보고 있으면 왠지 힘이 납니다.”
“우리 할머니가 생각나요.”
“오래오래 살아주세요.”
감탄, 공감, 응원, 소망, 희망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유튜브 채널. 세계적인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85세의 나이에 처음 시작한 일본의이다. 1934년생으로 올해 88세를 맞이하는 주인공 타라 미치코의 영상이 어떻게 15만 구독자에 누적 조회 수 1500만 회를 넘어섰을까? 영상을 들여다보면 딱히 특별한 것이 없다. 90세의 최고령 게임 유튜버처럼 특이한 이력으로 활동하지도 않는다.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거나 지식을 뽐내거나 특별한 요리 레시피가 등장하지도 않는다. 그저 55년째 살고 있는 임대아파트 여기저기를 보여주고, 아침 점심 저녁 세 끼를 해 먹는 모습, 예쁜 그릇에 담은 점심 한 상, 아파트 화단에서 꺾어 와 창가에 놓아둔 들꽃 등 화면 너머에는 소소한 일상이 펼쳐질 뿐이다.
언뜻 보면 여느 집과 다름없게 느껴질 법한 광경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짧지 않은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고 댓글까지 남기며 감동하는 것일까? 그 공간에는 한 사람의 삶 전체가 온전히, 켜켜이 쌓아온 세월이 고스란히 묻어나기 때문이다. 오래된 물건에는 스토리가 쌓이게 마련이듯이, 물 끓이는 주전자 하나, 전화기를 덮은 천 조각 하나조차 특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꾸미지 않은 것들의 존재감
타라 미치코는 유튜브를 시작하고 책을 내게 된 것을 ‘87년간 살아온 삶에 대한 보상이겠지’라고 생각한다. 어마어마한 성과를 내면서 살아온 것이 아니라 그저 일상을 소중하게 살아온 것, 시간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온 것에 대한 보상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누구보다 사랑한 보상일 것이다.
그녀는 뜨개질을 하듯 살아온 듯하다. 누군가 만들어놓은 보기 좋은 천을 사다가 둘러놓은 것이 아니라 87년 동안 조금씩 한땀 한땀 촘촘히 얽어낸 일상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55년 된, 엘리베이터도 없는 4층 아파트, 1평도 되지 않을 법한 아파트 단지의 좁디좁은 화단, 오랫동안 모아온 예쁜 그릇, 직접 바느질하고 뜨개질한 침대 시트, 손수 그린 그림, 그녀의 손길이 닿지 않은 물건이 없다. 그녀는 15평 좁은 아파트가 좋은 이유를 모든 공간이 자신의 눈길이 닿는 거리에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매 시간 자신이 살아가는 것을 느끼고,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에 눈길을 주고 손길을 닿게 하며 살아왔다. 그만큼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모습에 사람들이 감동하는 것이다.
무맛 오트밀 같기도, 톡 쏘는 레몬 같기도 한 일상
타라 미치코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평범하기 그지없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체조를 하고 아침을 먹고 집안일을 하고 뭔가를 배우러 나가고 점심을 먹고 저녁을 먹고 잠자리에 드는 것이 전부다. 가끔 화단을 가꾸고, 텔레비전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고, 좋아하는 오래된 영화를 보고, 올드팝송을 들으면서 청소를 한다. 그녀가 매일 먹는 오트밀처럼 무미건조하고 무맛인 일상이 이어진다.
그러나 그저 그런 일상에서 그녀의 세련된 취향과 감성이 엿보인다. 그녀의 머리칼 색인 그레이와 달리 집 안은 알록달록 총천연색이지만 자연스럽고 조화롭다. 저녁에는 젊은이들처럼 간단한 안주에 혼술을 즐긴다. 일본 술, 소주, 그리고 가끔은 위스키를 마신다. 그것도 딱 한 잔. 기분 좋을 정도로, 몸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가 적당하다. 노인들의 취향처럼 불경 필사를 하지만, 또 가끔은 ‘베토벤 합창교향곡’을 부르는 합창단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현대인은 반복된 일상에서 불안감을 느낀다. 뭔가 새로운 일에 도전해야 할 것 같은 조급증을 가지고 있다. 특히 SNS가 일상이 된 시대에는 특별한 것에 대한 강박증을 가지고 타인의 삶과 비교하면서 자존감은 한없이 떨어진다. 이것은 일상과 이벤트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에는 그 어떤 꾸밈이나 거창한 이벤트도 없다. 어제와 다름없는 오늘에서 편안함을 찾으며 가끔 톡 쏘는 레몬맛 같은 즐거움을 즐긴다. 평범한 식탁에 우드 트레이를 놓는 것, 어두운 화장실에 화려한 들꽃을 꽂아두는 것, 밋밋한 주방에 빨간 주전자를 놓는 것, 무맛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하는 것, 딱 그 정도다. 그 사소하지만 절묘한 균형에 일상이 반짝거린다. 젊은이들은 흉내 낼 수 없는 낭만이다.
이렇게 살아도 괜찮아!
타라 미치코의 삶은 세상의 모든 평범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준다. ‘그래, 특별하게 살지 않아도 돼’,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성공한 삶만이 진짜 삶이 아니야’라고 말이다. 삶의 90퍼센트는 일상이다. 기나긴 인생에서 특별한 이벤트는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 한순간이 지나면 또다시 일상이다. 그래서 타라 미치코는 원하는 삶을 살아왔고, 돌아보면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87세의 일상은 무너지기 쉽다. 혼자 할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들고 힘에 부친다. 몸이 그러하니 마음은 더욱 무너지기 쉽다. 그래서 어묵 세 조각도 예쁜 그릇에 담아 먹는 그녀의 삶이 특별해 보인다. 누군가에게 의지하기 쉬운 나이, 몸은 혼자이지만 마음은 홀로임을 이겨내지 못하기 쉽다.
이 책은 진정으로 홀로 사는 삶의 가치와 즐거움을 일깨워준다.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에서 만족을 느낄 줄 알고,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혼자서도 당당히 해낸다. 지금 이 순간을 가장 행복하게 살아가는 법,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훨씬 적은 삶에서 내일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를 찾게 될 것이다.
55년 된 15평 임대아파트 온라인 집들이 영상 190만 회
생애 첫 영상 240만 회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 브이로그
“이렇게 살고 싶어!”
“저렇게 나이 들고 싶어요.”
공감과 응원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이보다 더 완벽한 ‘홀로 라이프’는 없다
“요리 레시피를 배우고 싶어요.”
“보고 있으면 왠지 힘이 납니다.”
“우리 할머니가 생각나요.”
“오래오래 살아주세요.”
감탄, 공감, 응원, 소망, 희망의 댓글이 끊이지 않는 유튜브 채널. 세계적인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85세의 나이에 처음 시작한 일본의
언뜻 보면 여느 집과 다름없게 느껴질 법한 광경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짧지 않은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고 댓글까지 남기며 감동하는 것일까? 그 공간에는 한 사람의 삶 전체가 온전히, 켜켜이 쌓아온 세월이 고스란히 묻어나기 때문이다. 오래된 물건에는 스토리가 쌓이게 마련이듯이, 물 끓이는 주전자 하나, 전화기를 덮은 천 조각 하나조차 특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꾸미지 않은 것들의 존재감
타라 미치코는 유튜브를 시작하고 책을 내게 된 것을 ‘87년간 살아온 삶에 대한 보상이겠지’라고 생각한다. 어마어마한 성과를 내면서 살아온 것이 아니라 그저 일상을 소중하게 살아온 것, 시간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온 것에 대한 보상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누구보다 사랑한 보상일 것이다.
그녀는 뜨개질을 하듯 살아온 듯하다. 누군가 만들어놓은 보기 좋은 천을 사다가 둘러놓은 것이 아니라 87년 동안 조금씩 한땀 한땀 촘촘히 얽어낸 일상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55년 된, 엘리베이터도 없는 4층 아파트, 1평도 되지 않을 법한 아파트 단지의 좁디좁은 화단, 오랫동안 모아온 예쁜 그릇, 직접 바느질하고 뜨개질한 침대 시트, 손수 그린 그림, 그녀의 손길이 닿지 않은 물건이 없다. 그녀는 15평 좁은 아파트가 좋은 이유를 모든 공간이 자신의 눈길이 닿는 거리에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매 시간 자신이 살아가는 것을 느끼고,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에 눈길을 주고 손길을 닿게 하며 살아왔다. 그만큼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모습에 사람들이 감동하는 것이다.
무맛 오트밀 같기도, 톡 쏘는 레몬 같기도 한 일상
타라 미치코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평범하기 그지없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체조를 하고 아침을 먹고 집안일을 하고 뭔가를 배우러 나가고 점심을 먹고 저녁을 먹고 잠자리에 드는 것이 전부다. 가끔 화단을 가꾸고, 텔레비전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고, 좋아하는 오래된 영화를 보고, 올드팝송을 들으면서 청소를 한다. 그녀가 매일 먹는 오트밀처럼 무미건조하고 무맛인 일상이 이어진다.
그러나 그저 그런 일상에서 그녀의 세련된 취향과 감성이 엿보인다. 그녀의 머리칼 색인 그레이와 달리 집 안은 알록달록 총천연색이지만 자연스럽고 조화롭다. 저녁에는 젊은이들처럼 간단한 안주에 혼술을 즐긴다. 일본 술, 소주, 그리고 가끔은 위스키를 마신다. 그것도 딱 한 잔. 기분 좋을 정도로, 몸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가 적당하다. 노인들의 취향처럼 불경 필사를 하지만, 또 가끔은 ‘베토벤 합창교향곡’을 부르는 합창단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현대인은 반복된 일상에서 불안감을 느낀다. 뭔가 새로운 일에 도전해야 할 것 같은 조급증을 가지고 있다. 특히 SNS가 일상이 된 시대에는 특별한 것에 대한 강박증을 가지고 타인의 삶과 비교하면서 자존감은 한없이 떨어진다. 이것은 일상과 이벤트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87세 타라 미치코의 일상에는 그 어떤 꾸밈이나 거창한 이벤트도 없다. 어제와 다름없는 오늘에서 편안함을 찾으며 가끔 톡 쏘는 레몬맛 같은 즐거움을 즐긴다. 평범한 식탁에 우드 트레이를 놓는 것, 어두운 화장실에 화려한 들꽃을 꽂아두는 것, 밋밋한 주방에 빨간 주전자를 놓는 것, 무맛 오트밀에 레몬식초 2큰술을 더하는 것, 딱 그 정도다. 그 사소하지만 절묘한 균형에 일상이 반짝거린다. 젊은이들은 흉내 낼 수 없는 낭만이다.
이렇게 살아도 괜찮아!
타라 미치코의 삶은 세상의 모든 평범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준다. ‘그래, 특별하게 살지 않아도 돼’,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성공한 삶만이 진짜 삶이 아니야’라고 말이다. 삶의 90퍼센트는 일상이다. 기나긴 인생에서 특별한 이벤트는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 한순간이 지나면 또다시 일상이다. 그래서 타라 미치코는 원하는 삶을 살아왔고, 돌아보면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87세의 일상은 무너지기 쉽다. 혼자 할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들고 힘에 부친다. 몸이 그러하니 마음은 더욱 무너지기 쉽다. 그래서 어묵 세 조각도 예쁜 그릇에 담아 먹는 그녀의 삶이 특별해 보인다. 누군가에게 의지하기 쉬운 나이, 몸은 혼자이지만 마음은 홀로임을 이겨내지 못하기 쉽다.
이 책은 진정으로 홀로 사는 삶의 가치와 즐거움을 일깨워준다.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에서 만족을 느낄 줄 알고,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혼자서도 당당히 해낸다. 지금 이 순간을 가장 행복하게 살아가는 법,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훨씬 적은 삶에서 내일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를 찾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