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책 내용 미리보기
거기, 그곳에 : 세상 끝에 다녀오다
원서명 There and back: photographs from the edge
저자 지미 친
번역자 권루시안
원저자 Jimmy Chin
출판사 진선books
출판일 20221115
가격 ₩ 27,000
ISBN 9791190779678
페이지 302 p.
판형 190 X 240 mm
커버 Book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책 소개
아카데미상 수상작 '프리 솔로'의 감독이자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작가인 지미 친이 자신의 모험 사진 대표작을 엮어 출간한 사진집이다.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서 스키로 하강하는 모습, 요세미티 하프돔에서 베이스 점프하는 장면, 메루 봉의 주봉 샥스핀과 남극 대륙 울베타나 봉을 등정하는 모습 등 20여 년 동안 촬영해 온 경이로운 사진들을 한데 모았다. 전 세계 극지를 탐험하며 ‘세상의 끝’에서만 볼 수 있는 장엄하고도 아름다운 순간과 함께 그 장면을 기록한 투쟁에 가까운 촬영 현장의 뒷이야기를 들려준다. '프리 솔로'의 주인공 알렉스 호놀드와 스키 등반가 키트 델로리에, 스노보더 트래비스 라이스, 등반가 콘래드 앵커와 이본 쉬나드 등 전설적인 모험가들과 함께한 극적인 도전의 여정도 만날 수 있다. 시선을 압도하는 사진들과 모험을 향한 거대한 투지와 열정, 극한의 상황에서 발휘되는 우정과 연대에 관한 이야기는 우리에게 경외감과 존경심을 일깨워 줄 것이다.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사진을 촬영한 곳들

차라쿠사 1999
금지된 타워 원정
K7 2001
파타고니아
창탕 2002
티턴 산맥
에베레스트 스노보드 2003
딘 포터
에베레스트 영화 촬영
말리 2004
스테프 데이비스
에베레스트 스키 2006
남위 180도 2008
메루 2008
보르네오의 거벽
샹그릴라 원정
요세미티 2010
차드 2010
디날리 산 스키
메루 2011
오만
부가부 산군
트래비스 라이스
프리 솔로 2016
제1세계무역센터
스콧 슈미트
남극 대륙 2017

감사의 말씀
지은이에 대하여
용어 설명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본문발췌
몇 달 뒤 차라쿠사 계곡으로 걸어 들어가면서 나는 입구를 지키고 있는 화강암 암봉인 파티 타워와 파르하트 타워를 보고 말을 잃었다. 어느 쪽이든 타고 오를 생각을 하니 무서움이 앞섰다. 나는 새로 장만한 카메라를 꺼내 사진을 찍었다. (…) 그 전까지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았던 바위 바다를 구불구불 오르면서 우리는 전과는 완전히 다른 사람들이 되었다. 계곡에서 돌아올 때는 진정한 등반가가 된 느낌이었다. 그때는 몰랐지만, 그로부터 20년 동안 그 장엄한 계곡에 처음 발을 들여놓을 때 나를 사로잡은 그 무서움과 경외심을 찾아 전 세계를 다니게 된다.
- [차라쿠사 1999] 중에서

우리는 에베레스트를 포기하고 집으로 향했다. 2달 동안의 기대가 실패로 돌아갔지만, 우리의 원정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깨달음을 남겼다. 이번에 에베레스트의 정북벽을 시도한 덕분에 그 뒤로 내가 찾아간 다른 모든 산이 조금은 덜 어려워 보였다. 그 경험 덕분에 나는 또 한 가지 중요한 교훈을 배웠다. ‘뒤돌아 집까지 살아서 간다면 올바른 결정을 내린 것이다. 목표는 거기 갔다가 돌아오는 것이다.’
- [에베레스트 스노보드 2003] 중에서

파티마의 손 같은 곳을 사진으로 찍을 때 나는 그 아름다움과 크기, 스케일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경관을 제대로 나타내고 싶지만, 오랫동안 사진을 찍으면서 어떤 경관도 제대로 표현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관은 여러 분위기를 지닌다. 빛이 끊임없이 바뀐다. 경관의 모양과 느낌은 영원히 변화한다. 경관 전체를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나는 장면마다 그 장소의 느낌을 담음으로써 전체가 전달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말리 2004] 중에서

영하 18°C에 5,400미터 고도에서 밤에 포탈렛지를 치는 일은 힘들지만, 샥스핀처럼 피할 곳도 없이 깎아지른 절벽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 그런 다음에 그 전체를 불안정한 확보지점 하나에 매달아 팽팽하게 당길 필요가 있다. 이 모든 것을 하네스로 공중에 매달린 채 해내야 한다. 작업을 하다 보면 수직면에서 레슬링을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누가 뭔가를 떨어뜨리면 모두가 망한다. 샥스핀 같은 거벽에서는 아무리 작은 실수도 있어서는 안 된다.
- [메루 2011] 중에서

그로부터 3시간 30분 동안 알렉스는 22개 피치를 타고 올랐다. 그중에는 너무나도 아슬아슬하여 곡예가 요구되는 볼더프라블럼 피치도 있었는데, 이 피치를 우리는 원격 카메라로 촬영했다. 나는 등반의 마지막 난구간인 엔듀로코너에서 그를 포착할 계획을 세웠다. 그곳은 거대한 책을 펼쳐 놓은 것 같은 모양의 반질반질한 화강암으로, 접힌 부분에 극악하게 가파른 크랙이 있다. 수많은 전문 등반가가 이곳에서 떨어져 나갔다. 만일 알렉스에게 같은 일이 일어난다면 나는 다른 누구도 그것을 직접 목격하게 하고 싶지 않았다.
- [프리 솔로 2016] 중에서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저자소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감독이자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작가이며 세계적인 등반가이다. 20년이 넘도록 7대륙 최고봉을 포함해 전 세계의 수많은 산에 올랐다. 이 과정에서 촬영한 사진들은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뉴욕 타임즈 매거진]을 비롯한 여러 출판물의 표지를 장식했으며, 2020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작가 선정 사진작가상을 받았다. 아내 차이 바서렐리와 함께 연출한 영화 [메루]는 2015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받았고, 2016년 아카데미상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올랐다. 역시 두 사람이 함께 만든 영화 [프리 솔로]는 2019년 아카데미상 다큐멘터리상과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상, 에미상의 7개 부문에서 상을 받았다.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역자소개
편집자이자 번역가로서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책을 독자에게 아름답고 정확한 번역으로 소개하려 노력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과학을 만든 사람들](진선출판사), 에릭 해블록의 [뮤즈, 글쓰기를 배우다](문학동네), 데이비드 크리스털의 [언어의 죽음](이론과실천) 등이 있다.

홈페이지 www.ultrakasa.com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기타저자소개
이용대 (감수)
‘자기만의 산을 가꾸라’는 철학으로 한국 등산계를 지켜온 저자는 산과 책, 교육에 반평생을 보냈다. 1985년부터 코오롱등산학교에 출강했고 1997년부터 2015년까지 교장으로서, 만오천 명의 제자들에게 등산의 기초부터 역사와 문화 등을 가르치며 전인적 등산 교육에 매진해 왔다. 대한산악연맹 등산교육원 특임교수, 한국산악회 자문위원이자 종신회원, 한국산서회 창립 멤버이자 고문이다.
‘클라이머에게 정년은 없다’라는 모토 아래, 지금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그는 한국 암벽등반사의 클래식으로 꼽히는 북한산 인수봉의 동양길과 궁형길, 설악산 장군봉 남서면을 개척등반한 인물이기도 하다. 해외 산으로는 요세미티와 마운트 쿡, 알프스의 몽블랑과 마터호른, 이탈리아 돌로미테 산군의 트레치메 및 셀라 타워, 중국 쓰구냥 쌍교구의 빙벽들을 올랐으며, 카라코람 히말라야의 드리피카 및 네이저 피크 등을 등반했다.
또한 저자는 산악문학에 대한 남다른 애정으로 수많은 산서를 수집하고 그에 관한 글쓰기를 해왔다.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등산 전문지 월간 〈산〉, 〈mountain〉, 〈사람과 산〉을 비롯하여 〈중앙일보〉, 〈한국일보〉 등 다양한 매체에 각종 칼럼을 연재해 온 최고의 칼럼니스트이다.
저서로 [등산교실], [등산상식사전], [알피니즘, 도전의 역사], [그곳에 산이 있었다]를 펴냈고 [한국산악회 50년사], [등산], [즐거운 암릉길] 등을 공동집필했다. (사)한국산악회 공로상(2006), (사)대한산악연맹 산악대상 교육(2002) 및 문화 부문(2008), (사)한국대학산악연맹 산악문화상(2007), (사)한국산악회 이은상 문화상(2011), 대통령 표창(2013) 등을 수상했다.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기타저자소개
  • 서평
서평
아카데미상 수상작 [프리 솔로]의 감독이자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작가
지미 친의 첫 번째 모험 사진 컬렉션

아마존 사진 및 등산 분야 1위,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세계 최고의 모험 사진작가 지미 친의 첫 번째 사진집
지미 친의 이름은 ‘최고의 모험 사진’과 동의어이다. [프리 솔로]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감독이자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작가인 그는 세계적인 모험가와 산악인들과 오랜 시간 협력해 왔다. 극한의 탐사를 기록하는 데 초점을 맞춘 사진작가로서 또한 최고 수준의 등반가로서 7대륙 최고봉을 포함해 전 세계 수많은 산에 올랐고, 이 과정에서 촬영한 사진은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뉴욕 타임스 매거진]을 비롯하여 여러 출판물의 표지를 장식했다. 그의 작품은 [뉴요커], [배너티페어], [아웃사이드] 매거진에도 실렸으며, 2020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작가 선정 사진작가상을 받았다.
[거기, 그곳에]는 지미 친이 자신의 모험 사진 대표작을 엄선해 내놓은 첫 번째 사진집이다. 전 세계의 극지를 탐험하며 20여 년 동안 촬영해 온 경이로운 사진들을 한데 모았다. 출간 즉시 미국 아마존 사진 분야와 등산 분야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으며,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아무나 갈 수 없는 ‘세상의 끝’에서만 볼 수 있는 장엄하고도 아름다운 순간으로 우리를 이끈다.

대자연을 향한 극한의 모험과 열정, ‘세상 끝에 다녀오다’
거친 야생에 온몸으로 도전함과 동시에 그것을 사진으로 담아내는 일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고난에 가까운 일이다. 다행하게도 지미 친은 그 둘을 하나의 작업으로 완벽히 녹여 낸다. 추위에 움츠리고 바람에 떠밀리며 중력에 묶이는 가운데에도 그는 제 몸처럼 지니고 있던 카메라를 꺼내 모험의 성격이 드러나는 특별한 순간을 포착한다. 1999년 파키스탄 카라코람 산맥으로의 첫 원정을 시작으로 지구 곳곳 세상의 끝에서 기록한 그 특별한 순간들과 투쟁에 가까운 촬영 현장의 뒷이야기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그는 5천 미터 고도의 티베트 창탕 고원을 가로질러 멸종 위기의 티베트영양을 찾아 나서고,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올라 스키로 하강하며, 영하 46°C의 남극 대륙 평원 울베타나 봉을 등정한다. 지구상 가장 높은 사암질 타워 카가톤도에 오르고,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등정 중 하나인 메루 봉의 주봉 샥스핀을 첫 등정하는 데에도 성공한다. 파키스탄의 K7과 파타고니아 세로토레 산처럼 참담한 실패를 안겨 준 도전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전설적인 모험가와 산악인들의 가장 위대한 순간을 기록하다
지미 친은 자신이 사진으로 담은 사람 모두가 오늘날의 자신이 만들어지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말한다. [거기, 그곳에]는 20여 년이라는 세월에 걸쳐 그가 동료들과 함께한 협력의 기록이기도 하다. 등반가이자 베이스 점퍼 딘 포터와 스키 등반가 키트 델로리에, 스노보더 트래비스 라이스, 등반가 콘래드 앵커와 이본 쉬나드 등 전설적인 모험가와 전문 산악인들의 가장 위대한 순간을 보여 준다. 지미 친이 연출하고 2019년 아카데미상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 ‘역대 최고의 등반 영화’라 불리는 [프리 솔로]의 주인공 알렉스 호놀드의 이야기도 만날 수 있다.
지미 친은 이 책의 마지막 여정 이후로도 여전히 야생으로 나가, 자신의 한계를 몰아붙이며 우리를 세상 끝으로 데리고 갈 장면을 담아내고 있다. 그는 대자연과 그 안에서 인간이 다다를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사진이 확장해 줄 수 있다고 믿는다. 그의 시선을 압도하는 사진들과 모험을 향한 거대한 투지와 열정, 극한의 상황에서 발휘되는 우정과 연대에 관한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에게 경외감과 존경심을 일깨워 줄 것이다.
Copyright ⓒ E-CIP Content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