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Detail Information

책 내용 미리보기
올랜도 : 버지니아 울프 미니 선집
원서명 Orlando
총서명 버지니아 울프 미니 선집{2}
저자 버지니아 울프
번역자 권진아
원저자 Virginia Woolf
출판사 시공사
출판일 20200918
가격 ₩ 14,000
ISBN 9791165791926
페이지 487 p.
판형 118 X 185 mm
커버 Book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서평
책 소개
버지니아 울프 미니 선집 2권. [자기만의 방]보다 1년 앞서 출간된 [올랜도]는 버지니아 울프의 저작들 중에서 여러모로 이례적인 작품이다. 익히 알려진 섬세하고 진지한 모더니스트의 이미지를 내려놓고 능청스러운 유머와 풍자로 현실에선 불가능한 인물 ‘올랜도’의 이야기를 진짜인 양 들려주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울프 스스로 “휴가” 삼아 쓴 작품이라고 했지만 그 결과는 흥미롭게도 예상을 뛰어넘는 인기로 일주일 만에 호가스 출판사(울프 부부가 운영한 출판사) 역사상 유례없는 판매 기록을 세우며 울프 최초의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울프의 가장 뛰어난 시적인 걸작”(레베카 웨스트)이라는 평을 받으며 작품성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또한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하며 300년이 넘는 세월을 살아가는 귀족 올랜도의 “진실하면서도 환상적인” 이야기를 당시 유행하던 전기 형식으로 쓴 이 작품은 판타지적 설정 안에 숨겨놓은 금기에 대한 도전과 전복성으로 한 세기가 지난 오늘날 젠더 논의에 있어 빠질 수 없는 흥미로운 텍스트로 자리 잡았다.

양성성을 지닌 매력적인 인물 올랜도의 모델이 당시 울프의 연인이었고 이후로도 가깝게 지낸 여성 작가 비타 색빌웨스트라는 점, 전기 형식을 빌린 작품 안에 사료로 수록한 허구의 사진들 역시 비타가 작품을 위해 직접 분장을 하고 찍었다는 점, 작가이자 비타의 아들인 나이절 니콜슨이 “문학사상 가장 길고 매혹적인 연서”라는 평을 남겼다는 점 등은 이 문제적 작품 안팎의 해석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서평
목차
저자 서문 / 9
삽화 목록 / 13
올랜도:전기 / 15
찾아보기 / 461
작품 해설 _ 시대적 금기에 도전한 울프의 실험적 전기 / 467
버지니아 울프 연보 / 480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서평
본문발췌
자질들끼리도 닮은 것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데, 여기서 전기작가는 이런 서투름이 종종 고독에 대한 사랑과 짝을 이룬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궤짝에 걸려 넘어졌으니 올랜도는 당연히 외진 장소와 광막한 전망을 사랑했고 자신은 영원히, 영원히, 영원히 혼자라고 느끼기를 좋아했다.
그래서 마침내 오랜 침묵 끝에 그는 이 글에서 처음으로 입을 열고 “나는 혼자다”라고 속삭였다. _22쪽

아침 식사를 하고 나갈 때는 서른 살의 청년인데 저녁 식사 때 돌아올 때는 적어도 쉰다섯은 되어 보였다고 해도, 이는 전혀 과장이 아닐 것이다. 몇 주 만에 나이에 한 세기가 더해지는가 하면, 또 몇 주가 기껏해야 몇 초밖에 되지 않을 때도 있었다. 요컨대, 인생의 길이를 산정하는 일은 우리의 능력을 넘어선 일이다. _138쪽

여기서 그녀가 못 견디겠다는 듯이 발길질을 하는 바람에 종아리가 1, 2인치 정도 살짝 드러났다. 하필 그 순간 돛대 위에 있던 선원이 아래를 내려다봤다가 대경실색한 나머지 발을 헛디뎌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다. ‘분명 부양할 아내와 가족이 있을 정직한 친구가 내 발목을 보고 죽는다면, 자비로운 마음으로 발목을 가려야만 하겠구나.’ 올랜도는 생각했다. _219쪽

크누트는 올랜도를 거의 바닥에 쓰러뜨릴 지경으로 정신없이 주인에게 달려들었고, 그림스디치 부인은 무릎을 굽혀 인사를 하는가 싶더니 감정이 복받쳐 헐떡거리며 나리! 아씨! 나리! 아씨!라는 말만 연거푸 해대는 통에 올랜도가 양쪽 뺨에 다정하게 키스해서 달래주어야 했다. _236쪽

그녀의 성은 한 종류의 옷들만 입어온 사람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자주 바뀌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가 이 방법으로 이중의 수확을 얻은 것도 분명하다. 인생의 즐거움이 늘어났고 경험도 배가되었다. 그녀는 정직한 반바지와 매혹적인 페티코트를 바꿔 입었고 양성의 사랑을 똑같이 즐겼다. _308쪽

“당신 남자가 아닌 게 확실해요?” 그는 불안한 기색으로 이렇게 물을 것이고, 그녀는 이렇게 되풀이해서 말할 것이다. “당신이 여자가 아닌 것이 가능한가요?” _359쪽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서평
저자소개
본명은 애들린 버지니아 스티븐으로 빅토리아시대풍의 관습, 자유주의와 지성이 적절하게 혼합된 가정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그녀는 블룸즈버리 구역 근처에서 거주하거나 공부했던 케임브리지 출신의 학자ㆍ문인ㆍ비평가ㆍ예술가들의 모임 ‘블룸즈버리 그룹’의 결성 멤버였다. 이 그룹은 당시 다른 지식인들과 달리 여성들의 적극적인 예술 활동 참여, 동성애자들의 권리, 전쟁 반대 등 빅토리아시대의 관행과 가치관을 공공연히 거부하며 자유롭고 진보적인 태도를 취했다.
버지니아 울프는 픽션과 논픽션을 아우르며 다작을 남긴 야심 있는 작가였다. 그녀의 픽션들은 플롯보다는 등장인물들의 내면에 더욱 초점을 맞춘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해 쓰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출항』 『밤과 낮』 『제이콥의 방』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파도』 등과 페미니즘 비평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에세이 『자기만의 방』과 속편 『3기니』 등이 있다.
열세 살, 어머니의 죽음 이후 첫 정신발작을 일으킨 그녀는 평생 정신질환을 앓았고 자살 기도를 하기도 했다. 1941년 정신발작의 재발을 우려하는 편지를 남기고 집을 떠났고, 결국 주머니에 돌을 가득 넣은 채 강물 속으로 걸어 들어가 생을 마감했다.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서평
역자소개
서울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근대 유토피아 픽션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에서 강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1984년』 『동물농장』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헤밍웨이의 말』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공역) ‘시공 에드거 앨런 포 전집’ 1~4권 등이 있다.
  • 책 소개
  • 목차
  • 본문발췌
  • 저자소개
  • 역자소개
  • 서평
서평
성별을 오가며 300년을 산 그/그녀 올랜도의 환상적인 이야기
유머러스한 문체로 젠더의 허구성을 그려낸 버지니아 울프의 숨겨진 걸작

BBC 선정 ‘우리 세계를 만든 100권의 소설’
피터 박스올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1001권’
틸다 스윈턴 주연 영화 <올랜도> 원작

[자기만의 방]보다 1년 앞서 출간된 [올랜도]는 버지니아 울프의 저작들 중에서 여러모로 이례적인 작품이다. 익히 알려진 섬세하고 진지한 모더니스트의 이미지를 내려놓고 능청스러운 유머와 풍자로 현실에선 불가능한 인물 ‘올랜도’의 이야기를 진짜인 양 들려주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울프 스스로 “휴가” 삼아 쓴 작품이라고 했지만 그 결과는 흥미롭게도 예상을 뛰어넘는 인기로 일주일 만에 호가스 출판사(울프 부부가 운영한 출판사) 역사상 유례없는 판매 기록을 세우며 울프 최초의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울프의 가장 뛰어난 시적인 걸작”(레베카 웨스트)이라는 평을 받으며 작품성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또한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하며 300년이 넘는 세월을 살아가는 귀족 올랜도의 “진실하면서도 환상적인” 이야기를 당시 유행하던 전기 형식으로 쓴 이 작품은 판타지적 설정 안에 숨겨놓은 금기에 대한 도전과 전복성으로 한 세기가 지난 오늘날 젠더 논의에 있어 빠질 수 없는 흥미로운 텍스트로 자리 잡았다. 양성성을 지닌 매력적인 인물 올랜도의 모델이 당시 울프의 연인이었고 이후로도 가깝게 지낸 여성 작가 비타 색빌웨스트라는 점, 전기 형식을 빌린 작품 안에 사료로 수록한 허구의 사진들 역시 비타가 작품을 위해 직접 분장을 하고 찍었다는 점, 작가이자 비타의 아들인 나이절 니콜슨이 “문학사상 가장 길고 매혹적인 연서”라는 평을 남겼다는 점 등은 이 문제적 작품 안팎의 해석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작품의 의미심장한 첫 문장, “그 시절 스타일이 성별을 좀 감추는 데가 있기는 하지만 그의 성별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므로”에서부터 짐작할 수 있듯이 [올랜도]는 시종일관 고정된 여성과 남성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경쾌하게 질주한다. 아예 대놓고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뀌는 올랜도뿐 아니라, 남자인지 여자인지 파악하기 힘든 중성적인 모습으로 등장해 올랜도에게 좌절과 혼란을 안겨주고 올랜도가 여자가 된 후에도 강렬한 첫사랑의 기억으로 남는 사샤, 남자 시절의 올랜도에게는 여자로 위장해서 접근하고 여자가 된 올랜도에게는 원래의 남자 모습으로 구애하는 해리엇/해리 대공, 남녀의 결혼을 강요받는 빅토리아 시대에 올랜도가 찾은 “여자가 아닌 것이 불가능한” 남편 셸머딘 모두 고정된 성 역할과 성적 정체성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드는 흥미로운 인물들이다. 여기에 더해 울프는 귀족 청년에서 느닷없이 여성으로 변한 올랜도가 여성으로 살며 얻는?멍청한 선원이 돛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발목을 감추고 살아야 한다는 것에서부터, 남자 생각을 하는 한은 누구도 여성이 생각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냉소에 이르기까지?각종 깨달음을 통해 여성을 육체적, 정신적으로 억압하는 현실을 우스꽝스럽게 풍자하고, 실제로는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조상의 영지를 상속받지 못하고 잃어야 했던 비타에게 여성이면서도 영지를 지키는 올랜도의 모습으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대리만족을 선물한다.
Copyright ⓒ E-CIP Contents. All Rights Reserved.